전시작품 리스트
번호 | 작품명칭 | 형식 | 작품크기(cmxcm) | 소장번 | 유물지정등급 |
---|---|---|---|---|---|
1 | 송 태조 좌상 | 족자 | 191x169.7 | 中畫000302 | 국보 |
2 | 송대라고 전해지는 진단(陳摶)의 행서 오언 대련 | 족자 | 151x36.2 | 購書000942 | |
3 | 오대 남당 주문구(周文矩)가 그렸다고 전하는 명황(明皇)이 바둑을 두는 그림 | 두루마리 | 32.8x134.5 | 故畫000981 | |
4 | 명 왕정눌(汪廷訥) 좌은재(坐隱齋) 선생이 직접 편찬한 기보 전집 | 명 서림(書林) 왕씨(王氏) 간행본 | Single Page: 31.7x27.8 | 國家圖書館藏 307.7 06815 | |
5 | 명나라 서희염(徐希冉) 바둑의 정수를 모으고, 오묘함을 탐구하다(萃奕搜玄) | 명 만력연간 목판본 | 單頁:20.2x12.4 | 平圖020115 | |
6 | 청 작자 미상 위기보(圍碁譜) | 필사본 | 單頁:36.3x36 | 國家圖書館藏 307.7 27266 | |
7 | 명 태조 고황제 명대 제후 반신상 (1) 화첩 | 출력 | 63.7x51.8 | 中畫000326-1 | 중요유물 |
8 | 명 중산왕(中山王) 초상화 『모수호지(莫愁湖志)』에 수록 | 출력 | 單頁:17.1x12.6 | 贈善025998 | |
9 | 명 주원장 대장군 위국공 겸 태자태부 서달(徐達)에게 내린 칙서 『명 태조 어필첩』(1) | 서첩 | 37.8x35.3 | 中書000014-11 | |
10 | 청 마사도(馬士圖) 모수호지(莫愁湖志) | 청 광서 17년 재간행본 | 單頁:17.1x12.6 | 贈善025998 | |
11 | 『천가시』주해본 – 명대 풀이를 달고 내용을 보충하며, 시구에 운을 붙인 판본 > | 명대 붉은 줄 글씨 구획선이 있고 채색을 더한 필사본 | 單頁:26.7x17.7 | 平圖009591 | |
12 | 청 녹색 및 청색 유리 바둑알과 흑칠 금채 바둑알 통 | 진귀한 완상품 | 바둑알: 지름 1.7, 높이 0.7 바둑알 통: 5x4.5x5.9 | 故雜001677、001680、000523 | |
13 | 청 비단으로 장식한 바둑·장기 겸용 바둑판 | 진귀한 완상품 | 32x31.7 | 故雜000683 | |
14 | 청 칠보공예로 장식한 바둑·장기함 | 진귀한 완상품 | 최대 길이 17.2 | 故琺000725 | |
15 | 청 자수정·연수정·장미수정 바둑알 | 진귀한 완상품 | 지름 1.95, 높이 0.6 | 故雜000132、000131 | |
16 | 오채 박고도(博古圖) 장식의 뚜껑있는 항아리 | 자기 | 뚜껑 포함 높이 9.2-10, 입지름 8.6-9.1, 바닥 지름 7.3-7.6 | 故瓷 006092、006093 | |
17 | 송대라고 전해지는 격사 사안(謝安)의 별장 내기 그림 | 족자 | 59.5x101.3 | 故絲 000131 | |
18 | 청 성친왕(成親王) 승려 작(綽)이 촛불 구슬을 모아 봉황을 만들다 화우루법서첩(話雨樓法書帖) 먹 탁본 (2) | 서첩 | 28.8x29.8 | 贈拓000311 | |
19 | 청나라 책릉(策楞)의 주청문: 조라도(肇羅道)에서 운사(運司)를 잠시 맡았던 서대매(徐大枚)가 여러 업무를 공정하게 처리하였으며, 바둑을 두거나 연회를 베푼 일은 전혀 없었다고 보고한 문건. 군기처(軍機處)에 제출된 상주문 건륭 13년 정월 9일 | 군기처에 제출된 상주문 | 접힌 면 하나:25.5x11.5 | 故機001755 |
번호 | 작품명칭 | 형식 | 작품크기(cmxcm) | 소장번 | 유물지정등급 |
---|---|---|---|---|---|
20 | 명 사시신(謝時臣) 네 은자(隱者)를 그린 그림 | 족자 | 252.4x100 | 故畫002985 5 | 중요유물 |
21 | 명대 구영(仇英)이 그렸다고 전해지는 십팔학사가 영주(瀛洲)에 오른 이야기를 그린 그림 | 족자 | 223x102 | 故畫000487 | |
22 | 청 이명(黎明) 금정표(金廷標)의 대나무 계곡의 여섯 은자를 본뜬 작품 | 두루마리 | 38.3x125.2 | 故畫001737 | |
23 | 명 황표(黃彪) 아홉 노인을 그린 그림 | 두루마리 | 27.2x193 | 故畫001639 | |
24 | 명 이세광(李世光) 서원아집도(西園雅集圖)를 그림 | 완성된 부채 | 17.1x48 | 故扇000212 | |
25 | 송 황정견(黃庭堅)이 썼다고 전해지는 범지(梵志)의 시를 쓴 글씨 | 서첩 | 단면: 29.8 × 28.4 | 贈帖000058 | |
26 | 청 하수생(夏穗生) 매손(眉孫)에게 보낸 편지 | 편지지 | 23x12.6 | 購書000813 | |
27 | 청 전풍(錢灃) 예서로 소식의 시를 쓴 걸작 두루마리 | 두루마리 | 28.2x297.2 | 贈書000179 | |
28 | 청 비단욱(費丹旭) 사녀(仕女)그림 은수백(殷樹柏) 해서로 쓴 황강(黃崗)의 대나무 누각을 적은 글 | 완성된 부채 | 19x43.5 | 贈扇000002 | |
29 | 명 누견(婁堅) 오언고시(古詩)를 쓴 글씨 | 두루마리 | 27.7x272.6 | 故書000131 | 중요유물 |
30 | 명 문징명(文徵明) 계곡과 산 속의 고상한 은거 | 두루마리 | 그림 부분: 27.9 × 129.1 글씨 부분: 27.8 × 234 | 故畫001051 | |
31 | 명 송무진(宋懋晉) 산수화 | 족자 | 295.8x82 | 故畫002262 |
번호 | 작품명칭 | 형식 | 작품크기(cmxcm) | 소장번 | 유물지정등급 |
---|---|---|---|---|---|
32 | 명 선덕 5년 필사본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제11권 | 명나라 선덕 5년 금가루로 쓴 필사본 | 접은 면 하나:30.7x14.5 | 故佛000258-9 | |
33 | 원 양기(良琦) 칠언율시를 쓴 글씨 | 서첩 | 26.6x53.1 | 故書000257-9 | 중요유물 |
34 | 청 손호(孫祜) 만수도(萬壽圖) 화책 – 수옹이 바둑을 두다, 수옹이 거문고를 타다, 수옹이 서책을 펼치다, 수옹이 그림을 감상하다 | 화첩 | 24.7x24.4 | 故畫003372-1~4 | |
35 | 명 방정양(方正陽) 고사가 바둑 두는 그림 | 화첩 | 25.1x29.8 | 故畫003457-1 | |
36 | 청 군선도(群仙圖)(2) 봉구 (蓬球)에서 벌목 중 신선을 만나다 | 화첩 | 59.6x40.4 | 故畫003612-1 | |
37 | 청 어부·나무꾼·농부·학자를 그린 그림(2) – 가산에서 바둑 두는 것을 보다 | 화첩 | 16.9x40.5 | 故畫003607-1 | |
38 | 명 동기창(董其昌) 여행 기록 화첩 난가산(爛柯山) | 화첩 | 31.9x17.5 | 故畫003171-3 | |
39 | 청 동방달(董邦達) 묵묘주림(墨妙珠林)(사(巳)) 화첩 – 익기암(奕棋巖) | 화첩 | 62x42.2 | 故畫003642-24 | |
40 | 명 냉겸(冷謙) 봉래산에서 바둑을 두는 신선들 그림 | 두루마리 | 26x96 | 故畫001556 |
번호 | 작품명칭 | 형식 | 작품크기(cmxcm) | 소장번 | 유물지정등급 |
---|---|---|---|---|---|
41 | 오대 남당이라고 전해지는 주문구(周文矩)의 연당에서 바둑 두고 낚시하는 사녀도 | 족자 | 195.1x98 | 故畫001777 | |
42 | 명 구영(仇英) 한나라 궁궐의 봄날 아침 | 두루마리 | 30.6x574.1 | 故畫001038 | 국보 |
43 | 청 청궁정본 한나라 궁궐의 봄날 아침 | 두루마리 | 33.7x2038.5 | 故畫001050 | |
44 | 청 정관붕(丁觀鵬) 구영(仇英)의 한나라 궁궐의 봄날 아침를 본 뜬 그림 | 두루마리 | 34.5x675.4 | 故畫 001047 | |
45 | 명 청화백자에 '거문고, 바둑, 글쓰기, 그림'에 능한 18인의 학사를 그린 호리병 | 자기 | 높이 46.9, 입지름 11.7, 바닥지름 13.6 | 故瓷006482 | |
46 | 명 만력연간 청화백자 사녀(仕女)의 사예도 사발 | 자기 | 높이 7.8, 입지름 21.4, 굽지름 8.2 | 故瓷003953 | |
47 | 명 가정연간 청화백자 '아이들의 놀이 장면'을 그린 사발 | 자기 | 높이 17.6, 입지름 39.8 | 贈瓷000560 | |
48 | 명말 청초, '아이들 놀이'로 장식한 붉은 칠을 한 이층 합 | 칠기 | 31.8x19.8x18.3 | 故銅000076-6 |
번호 | 작품명칭 | 형식 | 작품크기(cmxcm) | 소장번 | 유물지정등급 |
---|---|---|---|---|---|
49 | 신령한 바둑의 경전(靈棊經) | 청 건륭제 시기 필사된 문연각(文淵閣) 사고전서(四庫全書) 판본 | 한면:22x14.4 | 故庫017985、017986 | 국보 |
50 | 신령한 바둑의 경전(靈棊經) | 일본 남북조 말기에서 무로마치 초기 사이에 제작된 필사본 | 한면:26.7x17.8 | 故觀008076 | |
51 | 『도판을 더해 새롭게 편찬한 분류 백과사전 사림광기(事林廣記)』 | 원 지순 연간 건안(建安) 춘장서원(椿莊書院) 간행본 | 한면:17.3x10.5 | 故善004371、004372 | 국보 |
52 | 이문(夷門)에서 널리 쓴 문서 모음집 | 명나라 만력 연간 금릉 형산서림(荊山書林)에서 간행한 보완 필사본 | 한면: 20.1x13.4 | 平圖012505 |
번호 | 작품명칭 | 형식 | 작품크기(cmxcm) | 소장번 | 유물지정등급 |
---|---|---|---|---|---|
53 | 한 뼈로 만든 육박(六博) 말 | 진귀한 완상품 | 길이 2.3, 너비 1.2–1.4, 높이 0.7–1.1 | 贈雕000139~000144 | |
54 | 한 채색 도용과 육박(六博) 놀이 도구 | 출력 | 최장 35.1 |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 |
55 | 동한 쓰촨(四川) 신진(新津)의 절벽무덤 석함에 새겨진 거문고 타기와 육박(六博) 장면의 화상석 탁본 | 탁본 | 81.8x223 | 贈拓000427 | |
56 | 당 선의랑(宣義郎) 내시성(內侍省) 내복국승(內僕局丞), 정원 외 배치되었으나 정규 관원과 동등한 대우를 받은 직위를 지닌 상주국(上柱國)을 지낸 이종증(李從證)의 묘지명 탁본 | 탁본 | 61x61.5 | 購拓000142 | |
57 | 청 문응조(門應兆) 소운종(蕭雲從)의 이소도(離騷圖) 하책을 보완한 그림 — 거문고·죽간·장기 | 화첩 | 22.1x14.8 | 故畫003391-36 | |
58 | 당 주방(周昉)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궁녀가 쌍륙(雙陸)을 두는 그림 | 두루마리 | 28.8x115 | 故畫000980 | |
59 | 청 양채로 장식된 파란 바탕에 푸른 복숭아와 시적 의미를 담은 쌍륙(雙陸)병 | 자기 | 높이 14.6, 입지름 2.2, 바닥지름 6.5 | 故瓷017497 、017498 | |
60 | 청 사계절 꽃무늬 장식 바둑판 및 옥 장기말 | 진귀한 완상품 | 장기판: 길이 25.9, 너비 25.6 장기함: 길이 6.4, 너비 12.8 장기 말: 길이 1.6, 너비 1.6, 높이 0.5 | 故玉006246 | |
61 | 상아로 조각한 승관도패(陞官圖牌) | 진귀한 완상품 | 상자: 길이 24.5, 너비 12.2, 높이 6.6 | 贈雕000023 | |
62 | 송 조백구(趙伯駒)가 그렸다고 전해지는 물가 정자에서 탄기(彈棋)를 즐기는 장면을 그린 그림 | 화첩 | 24.8x22 | 故畫001247-4 | |
63 | 청 초병정(焦秉貞) 사녀도(仕女圖) 화첩 중 촛불 아래 장기를 두는 장면 | 화첩 | 30.9x20.4 | 故畫003218-8 |
번호 | 작품명칭 | 형식 | 작품크기(cmxcm) | 소장번 | 유물지정등급 |
---|---|---|---|---|---|
64 | 제19회 아시안게임 바둑 경기 남자 개인전 금메달 | 금메달 | 지름 6.8 | 쉬하오홍(許皓鋐) 소장 | |
65 | 제11회 LG배 세계기왕전 결승 대국 바둑판과 우승 트로피 | 바둑판, 트로피 | 바둑판: 45.5×42.6×6 트로피: 18×18×54.5 | 저우쥔쉰(周俊勛) 소장 | |
66 | 제3회 중환배 세계바둑선수권대회 결승 기념 접시 | 바둑판 | 길이 46, 너비 42.5, 높이 6 | 타이완 기원 문화재단 소장 | |
67 | 「우의(羽衣)」 바둑 세트 | 바둑판, 바둑알통, 바둑알 | 바둑판: 길이 45.5, 너비 42.5, 높이 29.5 바둑알통: 뚜껑 포함 높이 11, 너비 12, 바닥 지름 12 바둑알: 높이 1, 지름 2 | 재단법인 페이성(培生) 문화 교육 재단(하이펑(海峰)기원) 소장 |
번호 | 작품명칭 | 형식 | 작품크기(cmxcm) | 소장번 | 유물지정등급 |
---|---|---|---|---|---|
68 | 명 구영(仇英) 한나라 궁월의 봄날 아침 | 두루마리 | 30.6x574.1 | 故畫001038 | 국보 |
69 | 명 청화백자에 '거문고, 바둑, 서예, 그림'에 능한 18인의 학사를 그린 호리병 | 자기 | 높이46.9、입지름11.7、바닥 지름13.6 | 故瓷006482 | |
70 | 명 만력연간 청화백자 사녀(仕女)의 사예도(四藝圖) 사발 | 자기 | 높이7.8、입지름21.4、굽지름8.2 | 故瓷003953 | |
71 | 명 가정연간 청화백자 아이들 놀이 장면을 그린 사발 | 자기 | 높이17.6、입지름 39.8 | 贈瓷000560 | |
72 | 명말 청초 아이들 놀이로 장식한 붉은 칠을 한 이층 합 | 칠기상자 | 31.8x19.8x18.3 | 故銅00007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