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자극에 따른 변모
이 외에도 더우리우(斗六), 푸리서팅(埔里社廳) 등의 성곽 건설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타이완에 대한 통제가 더욱 심화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동시에, 외부 세력에 맞서기 위한 청조의 전략적 조정과 적극적 대응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
랑챠오(琅𤩝)의 지세를 조사하고, 즉시 성곽을 건설하고 관리를
배치하여 지방을 안정시키고 적이 기회를 노리는 것을 막기 위한 계획에 관한 보고서. 《월첩당(月摺檔)》광서(光緒) 원년 정월상(正月上)에 수록
福州將軍(복주장군) 문욱(文煜) 등
광서 원년 정월(正月) 12일.동치(同治) 13년(1874년) 일본군의 타이완 침공의 충격을 받은 청조는 이듬해 펑산셴(鳳山縣)에서 망시(芒溪) 이남 지역을 분리하여 새로운 현을 설립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심보정(沈葆楨) 등 관계자들은 직접 랑챠오(현재의 헝춘(恒春) 지역)를 현지 조사하였으며, 이 상주문에서 차청(車城) 남쪽의 허우둥(猴洞) 지역에 현치(縣治)를 건설하고, 현 이름을 ‘헝춘(恆春)’으로 명명하는 등의 계획을 상세히 보고하였습니다. 이후 이 계획은 청조정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성곽 건설 공사는 각 지방에서 분담하여 진행되었으며, 광서(光緒) 원년(1875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광서 5년(1879년)에 완공되었습니다. 현재 헝춘청(恆春城)은 국가 지정 고적으로, 모든 성문이 보존된 유일한 성으로 남아 있습니다.
-
타이베이(臺北) 항구를 위해 부치(府治)를 건설하여 세 현을 통괄하도록 계획하여 지방을 통제하고 안정시키려 함
《월첩당(月摺檔)》 광서(光緒) 원년 7월상(七月上)에 수록됨
복주장군(福州將軍) 문욱(文煜) 등
광서(光緒) 원년7월 14일타이완 남단뿐만 아니라, 청조는 광서 원년(1875년)에 심보정(沈葆楨) 등이 제안한 “부치를 건설하고, 이를 통해 세 현을 통할하여 지방을 통제하고 안정시키려 한다”는 건의를 승인하고, 타이베이푸(臺北府)를 설치하였습니다. 성곽의 위치는 다다오청(大稻埕)과 멍쟈(艋舺) 두 지역 사이로 선정되었습니다. 성곽 건설은 지부(知府) 진성취(陳星聚)가 담당하였으며, 광서 8년(1882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광서 10년(1884년)에 완공되었습니다. 2024년은 타이베이푸청(臺北府城) 완공 14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타이베이푸청에는 총 다섯 개의 성문이 있었으나, 서문은 현재 남아 있지 않습니다. 보존된 나머지 네 개의 성문은 현재 국가 지정 유적으로 보호되고 있습니다.
-
타이완의 상황이 현재로서는 성회(省會)를 변경하여 설치하는 계획이 어려움을 아뢰는 상소
《이무시말기(夷務始末記)》 광서(光緒) 11년(1885년) 10월, 11월, 12월에 수록됨.
유명전(劉銘傳)
광서(光緒) 11년 10월 23일광서(光緒) 11년(1885년), 청조는 타이완이 남양(南洋)의 관문임을 감안하여 별도의 성(省)을 설립하라는 명령을 내렸습니다. 그러나 대만의 주요 업무를 맡고 있던 유명전(劉銘傳)은 초기 예산 등의 문제를 고려하여, ‘타이완의 상황이 현재로서는 성회(省會)를 변경하여 설치하는 계획이 어려움을 아뢰는 상소’ 라는 상소문을 제출하며, 성을 설립하는 것이 어려운 여러 이유를 제시하고 조정에 신중한 판단을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결국 그의 상소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계획대로 시행되어 성청(省城)은 장화셴(彰化縣)의 챠오쯔투(橋孜圖, 현재의 타이중시(臺中市) 중심부)에 정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