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구로 이동
:::

흔들림과 망설임의 과정

성은 통치의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방어 기능을 겸하고 있지만, 동시에 관에 반항하는 자들의 의지처가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청조가 성곽 건설을 반대하는 배경에는 통치와 혼란 방지 사이에서 균형을 추구하며 거대한 재정 부담을 피하고자 함이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청조 통치 초기 타이완의 성곽은 대개 가시 대나무와 나무 울타리로 둘러싸이거나 간단한 토성으로 조성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의 흔들림과 망설임 속에서도 타이완푸청(臺灣府城), 펑산셴청(鳳山縣城), 주뤄셴청(諸羅縣城), 장화셴청(彰化縣城), 단수이팅청(淡水廳城, 주쳰청(竹塹城))은 점진적으로 건설되었으며, 이는 대체로 청조의 서부 지역에 대한 통제력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성곽 건설 과정에서 어느 정도 갈등과 도전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본 웹사이트에서 사용하는 키보드 사진첩 기능 설명보기:
  • 위로: 사진메뉴 보기
  • 아래로: 사진메뉴 숨김
  • 왼쪽으로: 윗 사진
  • 오른쪽으로: 다음 사진
  • ESC:사진첩 나가기
  • 타이완푸청(臺灣府城) 목책(木柵) 건축 상황에 대한 상소 보고

    순시대만감찰어사(巡視臺灣監察御史) 선제포(禪濟布)
    옹정(雍正) 3년 3월 16일

    2025년은 푸청(府城, 타이난(臺南))이 ‘성(城)’을 건립한 지 300년이 되는 해입니다. 이를 기념하는 기준 중 하나는 옹정(雍正) 3년(1725) 3월에 순시대만감찰어사(巡視臺灣監察御史) 선제포(禪濟布)가 올린 상소문 〈타이완 푸청 목책 건축 상황에 대한 상소 보고〉에서 유래합니다. 이 상소문에서는 그가 대만 지역의 문무 관원을 감독하여 성 건립을 위한 자금을 마련하고, 지방 주민들도 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상세히 서술하고 있습니다. 처음 세워진 성벽은 목책을 사용해 둘러쌌으며, 총 둘레는 2,000여 장(丈)이었고, 여러 개의 망루와 대포를 설치하여 방어 기능을 강화했습니다. 또한, 성의 네 개의 문에는 각각 높은 문루(門樓)가 세워졌습니다.

  • 민성(閩省)에 속한 각 성벽이 견고하게 수리되었으며 관련 사무 처리

    지시 경위에 관한 상소문
    복건순무(福建巡撫) 정장(定長)
    건륭(乾隆) 28년 2월 15일

    청나라 통치의 확장과 증설에 따라, 18세기 전반까지 타이완 서부 평야 지역에는 다섯 개의 주요 거점이 순차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이 거점들은 타이완푸(臺灣府, 교외), 펑산셴(鳳山縣), 주뤄셴(諸羅縣), 장화셴(彰化縣), 그리고 단수이팅(淡水廳)을 포함합니다. 이들 성의 성벽은 주로 가시 대나무와 목재 울타리로 둘러싸이거나 다져진 흙으로 축조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복건순무 정장이 이 상소문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습니다. "타이완푸 소속의 타이완푸, 펑산, 주뤄, 장화 네 현은 바다 건너의 모래땅이 부드럽고 헐거워, 벽돌과 돌로 된 성벽은 오래 견딜 수 없습니다. 그래서 나무를 세우고 대나무를 심거나 흙을 다져 성을 쌓으며, 각지의 상황에 맞게 보수하여 방어 기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타이완쥔(臺灣郡) 성곽 재건도

    타이완쥔의 여러 건축물의 개보수 도해
    청 건륭(乾隆) 연간 종이에 그려진 채색 화첩

    푸청(府城)은 청대 타이완에서 가장 중요한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였습니다. 《타이완쥔의 여러 건축물의 개보수 도해》의 첫 번째 채색화인 〈타이완쥔 성곽 재건도〉는 건륭 연간 타이완푸청(臺灣府城)의 전체 모습을 소개하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대만지부(臺灣知府) 장원추(蔣元樞)는 동쪽을 위, 서쪽을 아래로 하는 배치를 기준으로 정교하게 이 지도를 그렸으며, 1770년대 중반 타이완푸청이 가시 대나무와 목책(木柵)으로 둘러싸여 ‘반달이 강에 잠긴’듯한 구조로 서쪽에 성벽이 없이 타이장(臺江) 내해에 바로 접해 있는 모습을 완전하게 묘사했습니다. 목책 성벽은 방어력이 상대적으로 약했기 때문에, 장원추는 적의 정세를 살피기 위한 성벽의 망루(望樓)와 포대(砲臺) 등의 시설을 추가로 건설하여 방어를 강화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