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구역으로 이동하기
:::

어떻게 화면 속의 이야기를 알아볼 수 있을까요

그림에서 무엇을 「말하는지」 알아보는 관건은 인물의 표정? 모양? 동작? 도구일까요? 아니면 장면일까요? 이 주제에는 몇 점의 쉽게 알아보기 어려운 이야기의 작품을 전시합니다. 왜 알아보는 것이 어려울까요? 화가가 틀에 박힌 방식을 그림에 너무 많이 사용해서일까요? 아니면 중요한 도상을 보는 사람이 쉽게 지나쳐 버리게 되어서일까요? 혹은 묘사된 이야기의 글이 이 시대의 인식의 범위를 넘어서일까요? 이야기의 주제를 명확하게 알아볼 수 없다면 오히려 화면에 남아 있는 실마리를 통해서 조금씩 가능한 이야기를 맞춰가는 작은 즐거움을 느껴 보시기 바랍니다.

본 웹사이트에서 사용하는 키보드 사진첩 기능 설명보기:
  • 위로: 사진메뉴 보기
  • 아래로: 사진메뉴 숨김
  • 왼쪽으로: 윗 사진
  • 오른쪽으로: 다음 사진
  • ESC:사진첩 나가기
    • 송나라 사람   변장자(卞莊子)가 호랑이를 찌르는 그림
    • 송나라 사람   변장자(卞莊子)가 호랑이를 찌르는 그림
    • 송나라 사람   변장자(卞莊子)가 호랑이를 찌르는 그림
    • 송나라 사람   변장자(卞莊子)가 호랑이를 찌르는 그림
    • 송나라 사람   변장자(卞莊子)가 호랑이를 찌르는 그림
    • 송나라 사람   변장자(卞莊子)가 호랑이를 찌르는 그림
    • 송나라 사람   변장자(卞莊子)가 호랑이를 찌르는 그림
    송나라 사람   변장자(卞莊子)가 호랑이를 찌르는 그림_預覽圖
    송나라 사람 변장자(卞莊子)가 호랑이를 찌르는 그림
    • 비단에 옅은 채색, 두루마리
    • 작품 크기: 세로 39cm, 가로 169.1cm
    • 고화(故畫)001006
    • 중요 유물

    노나라의 고위 관료 변장자(생몰년 미상)는 용맹함으로 유명했습니다. 어느 날 그는 두 마리의 호랑이가 다친 소를 두고 싸우는 것을 보고, 칼을 들고 호랑이를 찌르려 했습니다. 그러나 곁에 있던 사람이 그에게 호랑이들이 싸운 후 지쳤을 때 공격하라고 조언했습니다. 변장자는 그 조언을 따랐고, 결국 상처 입은 한 마리의 호랑이만 상대하여 두 마리의 호랑이를 쉽게 잡을 수 있었습니다. 이 이야기는《전국책(戰國策)》과 《사기(史記)》에 기록되어 있으며,「일거양득(一擧兩得)」의 유래가 됩니다.

    이 그림에는 서명이 없으나, 전통적으로 북송 시대의 화가 이공린(李公麟, 1049–1106)의 작품으로 전해져 왔지만, 이는 그 이름을 빌린 것일 것입니다. 이 작품은 세밀한 필치와 힘찬 선을 특징으로 하며, 주인공의 용맹하고 기개 넘치는 모습과 두 마리 호랑이의 격렬한 싸움 장면을 훌륭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사물의 표현에 생동감이 있습니다.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_預覽圖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헐떡임을 묻는 그림
    • 비단에 먹으로 그림 두루마리
    • 크기: 세로 21.7, 가로 118.1cm
    • 고화(故畫)001007
    • 중요 유물

    이 작품의 이야기는 《한서(漢書)》에서 유래되었으며, 한대의 재상 병길(丙吉, ?–기원전 55)이 순찰 중에 겪은 일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병길은 길에서 사람의 사망과 부상을 동반한 싸움 사건을 목격했으나 멈춰서 관심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대신, 길가에서 혀를 내밀고 숨을 헐떡이는 소를 보고는 그 이유를 알아보라고 특별히 명령을 내렸습니다. 이를 통해 계절의 변동과 민생 상황을 파악하려 했으며, 후대에는 근면하게 정사를 돌보고 백성을 사랑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되었습니다.

    이 그림은 필묵이 습윤하고 수증기가 자욱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배경은 간략하게 처리되어 소의 헐떡임을 묻는 장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이 작품은 송나라 사람이 그린 것으로 전해져 왔으며, 사물의 모습이 생동감 있게 묘사되었습니다. 그러나 필묵은 다소 간략하게 처리된 면이 있습니다. 그림의 말미에는 원나라 시대의 왕봉(王逢, 14세기)의 제발(題跋)이 있어, 이 그림이 원나라 사람에 의해 그려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야기소개-헐떡임을 묻다

    한대의 재상 병길(丙吉)이 어느 날 외출 중 길에서 싸움으로 인해 사망자와 부상자가 발생한 사건을 목격했으나, 이를 무시하고 지나갔습니다. 조금 더 가던 중 그는 한 사람이 소를 몰고 가는 장면을 보고, 그 소가 혀를 내밀고 헐떡이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가 소가 숨을 몰아쉬는 것만 관심을 갖고 사람이 죽고 부상을 당한 것에 대해서는 묻지 않자 이를 지켜본 수행원들은 그가 상황에 맞는 판단을 내리지 못한다며 비웃었습니다. 이에 병길은 이렇게 답했습니다. 「사람들 사이의 싸움을 처리하고 범인을 추적하는 것은 장안현령(長安縣令)과 그 상관인 경조윤(京兆尹)의 책임입니다. 연말이 되면 재상이 그들의 성과를 평가하여 그에 따라 상벌을 내리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일에 내가 직접 나서서 조사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지금은 봄이 막 시작되었는데, 소가 조금 걸었을 뿐인데 심하게 헐떡이는 것을 보니, 혹시 기후가 이상해져 민생에 해를 끼칠까 염려됩니다. 계절의 변화에 관심을 갖고, 음양의 조화를 이루는 것이 승상의 책임이기에, 제가 소의 헐떡임을 물어본 것입니다.」이 말을 들은 수행원들은 비로소 병길이 진정으로 큰 그림을 보는 승상임을 인정하게 되었습니다.

    • 송  예림집옥(藝林集玉) 화첩 중 서명이 없는 호계삼소도(虎溪三笑圖)
    • 송  예림집옥(藝林集玉) 화첩 중 서명이 없는 호계삼소도(虎溪三笑圖)
    • 송  예림집옥(藝林集玉) 화첩 중 서명이 없는 호계삼소도(虎溪三笑圖)
    • 송  예림집옥(藝林集玉) 화첩 중 서명이 없는 호계삼소도(虎溪三笑圖)
    송  예림집옥(藝林集玉) 화첩 중 서명이 없는 호계삼소도(虎溪三笑圖)_預覽圖
    송 예림집옥(藝林集玉) 화첩 중 서명이 없는 호계삼소도(虎溪三笑圖)
    • 비단에 채색 화첩
    • 그림크기 세로 26.4, 가로 47.6cm
    • 고화(故畫)001296-1
    • 중요 유물

    호계삼소(虎溪三笑)는 육수정(陸修靜, 406-477)과 도연명(陶淵明, 365-427)이 혜원(慧遠, 334-416)을 찾아갔다는 이야기를 전합니다. 세 사람은 대화가 매우 즐거워, 결국 혜원이 「손님을 호계(虎溪)를 넘어서 배웅하지 않겠다」는 맹세를 깨게 되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한때 널리 퍼졌으며, 후대의 고증에 따르면 허구임이 밝혀졌지만, 유교, 도교, 불교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이상적인 경지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의 배경에는 굽이치는 시냇물이 그려져 있으며, 화면의 초점은 하늘을 향해 크게 웃고 있는 세 사람에게 맞춰져 있습니다. 배경의 큰 나무들은 이미 붉게 물들었고, 낙엽이 땅을 덮어 가을의 정취가 가득합니다. 인물, 산과 바위, 나무는 모두 힘차고 예리하며 정교한 필치로 그려졌으며, 남송 특유의 분위기를 충분히 느낄 수 있습니다.

    이야기소개-호계삼소(虎溪三笑) (만화첨부)

    혜원 법사는 여산(廬山)에서 30여 년 동안 머물며, 한 번도 여산을 떠나지 않았고 세속적인 일들과도 접촉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손님을 배웅할 때 호계를 넘지 않았는데, 만약 호계를 넘으려 하면 언제나 호랑이가 큰 소리로 울부짖으며 혜원에게 호계를 넘지 말라고 경고하는 듯했습니다. 어느 날, 시인 도연명(陶淵明)과 도사 육수정(陸修靜)을 배웅하는 자리에서 세 사람은 길을 걸으며 도리에 대해 논하고, 서로의 뜻이 잘 맞아 이야기하는 사이에 어느새 호계를 지나고 말았습니다. 이를 깨달은 세 사람은 마주 보며 크게 웃음을 터뜨렸습니다.

    • 청 금정표(金廷標)  호량도(濠梁圖)
    • 청 금정표(金廷標)  호량도(濠梁圖)
    • 청 금정표(金廷標)  호량도(濠梁圖)
    청 금정표(金廷標)  호량도(濠梁圖)_預覽圖
    청 금정표(金廷標) 호량도(濠梁圖)
    • 종이에 채색 족자
    • 그림크기: 세로 165.4, 가로 95.4cm
    • 고화(故畫) 002812

    이 작품은 장자(莊子, 약 기원전 369-286)와 혜시(惠施, 약 기원전 370-310) 사이에 벌어진 「호량지변(濠梁之辯)」 이야기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두 사람은 다리를 건너며 강 속의 물고기가 행복한지, 어떻게 물고기가 행복한지 알 수 있는지, 그리고 상대방이 어떻게 물고기의 즐거움을 아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였습니다.

    그림 속 두 사람은 물가에 서 있으며, 옷자락과 머리카락이 바람에 날리고 있습니다. 두 사람은 입을 벌려 논쟁을 시작하려는 듯하며, 한 사람은 턱을 살짝 들어 올린 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시선을 하고 있어, 논쟁 당시 서로 지지 않으려는 분위기를 재현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들 앞에는 비틀리며 하늘로 곧게 솟아오른 고목이 서 있어, 장면의 격렬함을 더욱 강조하는 듯합니다. 금정표(金廷標, ?-1767)는 청대 궁정 화가로, 인물, 화훼, 산수를 잘 그려 건륭제(乾隆帝, 1711-1799)의 총애를 받았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