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구로 이동
:::

전시작품 리스트

선물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undefined

번호 작품명칭/작가 시절 소장품번호 형식 비고
1 대청태조고황제실록(大清太祖高皇帝實錄) 대형 붉은 비단 장정 판본 故官001536-38 문헌  
2 대청태종문황제실록(大清太宗文皇帝實錄) 소형 붉은 비단 장정 판본 故官001584-89 문헌  
3 대청회전(大清會典)
청 윤록(允祿) 등이 어명을 받아 편찬
청 건륭29년(1764) 무영전 간행본 故殿035100 고서  
4 국조궁사(國朝宮史)
청 우민중(于敏中) 등이 어명을 받아 편찬
청 건륭34년(1769) 내부(內府)에서 펴낸 붉은 선 격자가 있는 필사본 故殿004438 고서  

승진과 연봉 인상

undefined

번호 작품명칭/작가 시절 소장품번호 형식 비고
5 상유팔기(上諭八旗)
청 윤록(允祿) 등이 어명을 받아 편찬
청 옹정9년(1731) 무영전 간행본 故殿035021-035023 고서  
6 하사받은 은혜로운 명령에 감사를 표하고 정황기(正黃旗) 승격 편입을 아뢰며 충성을 다짐하는 상주문
양광총독 양림(楊琳)
청 옹정 원년3월8일(1723-04-12) 故宮018267 문헌  
7 열하에서 이리로 파견된 오이라트 관원 114명의 공적을 보고하고 훈장과 상으로 은을 하사한 명단을 첨부하여 심사를 청함
직례열하 (直隸熱河) 병비도(兵備道) 명산보(明山保)
청 건륭35년2월16일(1771-01-31) 故機013200 문헌  
8 초군(楚軍)이 안휘(安徽)를 정벌하여 원병 수십만을 대파하고, 적의 보루 백여 곳과 적의 막사 및 거처 수백 곳을 소탕하며, 태호(太湖)의 성읍을 회복한 사실을 아뢰는 상주문
관문(官文), 호림익(胡林翼), 증국번(曾國藩)
청 함풍 10년2월7일(1860-02-28) 故宮130669 문헌  
9 광서연간 종이 재질의 공훈패 청 광서11년11월23일(1885-12-31) 10032 문헌 국립역사박물관
10 대만 무관 인사 이동에 따른 상과 진급을 아뢰는 상주문
복주(福州)장군이자 육로제독 직무를 대리한 아얼새(阿爾賽)
청 옹정12년6월6일(1734-07-06) 故宮023009 문헌  
11 부친에게 하사된 시호 ‘청각(清恪)’과 황제가 친히 쓴 ‘복(福)’ 자에 대해 감사를 올리는 상주문
한림원 시강학사(侍講學士) 진세관(陳世倌)
清雍正二年二月十二日(1724-03-06) 故宮019415 문헌  
12 『대청국사공신열전(大清國史功臣列傳)』에 수록된 ‘오배파도로(鰲拜巴圖魯) 열전’ 청 국사관 편찬 청 내부(內府)에서 펴낸 붉은 선 격자가 있는 필사본 故殿026547 고서  
13 대리 부도통(副都統) 성덕(成德) 등에게 바투루 칭호와 화령, 남령 등을 하사하신 황제의 은혜에 감사를 올리는 상주문
호광총독(湖廣總督) 필원(畢沅)
청 가경 원년8월26일(1796-09-26) 故宮086792 문헌  
14 황제의 명을 받들어 전학도(田學韜)에게 바투루 칭호를 하사함
내각(內閣)
청 함풍 원년10월5일(1851-11-27) 故宮134037 문헌  
15 깃털장식 령자(翎子) 하사에 대한 감사 상주문
섬서(陜西) 서녕(西寧) 등지의 방어를 맡은 지방 총병관(總兵官) 황희림(黃喜林)
청 옹정 원년10월27일(1723-11-24) 故宮006488 문헌  
16 영관(翎管) 등 물품을 하사 받은 은혜에 감사를 드리는 상주문
운남성(雲南省)과 귀주성(貴州省)을 관할하는 총독 고기탁(高其倬)
청 옹정 2년6월29일(1724-08-17) 故宮015717 문헌  
17 ‘수(壽)’ 자가 있는 붉은색으로 채색한 석재 관모 장식 청(1644-1911) 贈玉000245 기물  
18 청금석 관모 장식 청(1644-1911) 贈玉000246 기물  
19 수정 관모 장식 청(1644-1911) 贈玉000244 기물  
20 도금이 된 관모장식 청(1644-1911) 贈玉000247 기물  
21 백색 조개로 만든 관모 장식 청(1644-1911) 贈玉000271 기물  
22 담녹색 유약을 입혀 만든 관모용 깃털 장식관 청(1644-1911) 中瓷001806-001807 기물  
23 분채 도자기로 만든 관모용 깃털 장식관 청(1644-1911) 中瓷001746-001747 기물  
24 참장(參將) 장조량(張朝良)에게 공작 깃털 화령(花翎)과 관모 장식을 하사해 주시기를 청하는 상주문
영원대장군(寧遠大將軍) 악종기(岳鍾琪)
청 옹정 8년5월30일(1730-07-14) 故宮003221 문헌  
25 공작 깃털 화령(花翎)과 관모장식을 하사하여 군영의 위엄을 드러낼 수 있게 해주시길 간절히 청하는 상주문
부장군이자 형부 시랑(侍郎)인 상래(常賚)
청 옹정 9년9월8일(1731-10-08) 故宮018460 문헌  
26 황제에게서 황마괘(黃馬褂)를 하사받은 데 대해 감사드리는 상주문
손사의(孫士毅)
청 건륭 54년6월18일(1789-08-08) 故機041228 문헌  
27 황마괘(黃馬褂)를 하사하시고 자금성 안에서 말을 탈 수 있는 특권을 주신 것에 감사를 드리는 상주문
태자소보(太子少保) 겸 북양대신(北洋大臣) 서리 및 직례총독(直隸總督) 원세개(袁世凱)
청 광서 27년11월26일(1902-01-05) 故宮136821 문헌  
28 훈장의 규정을 정비하여 그 제도의 신중함을 드러내고자 아뢰는 상주문
총리각국사무아문(總理各國事務衙門) 혁흔(奕訢) 등
청 광서 7년12월19일(1882-02-07) 故機121006 문헌  
29 황제가 하사한 쌍룡이 장식된 훈장 청 광서연간(1875-1908) 08506 문헌 국립역사박물관
30 앞으로 외국에 파견되는 사신이 각국 군주로부터 훈장을 하사 받을 경우 모두 이를 받아 착용할 것을 명함.
『이무시말기(夷務始末記)』에 수록
청 광서 24년6월4일(1898-07-22) 故官008425 문헌  
31 프랑스 측의 답신 내용 원문을 그대로 옮겨 삼가 황제께 올리니, 살펴보아 주시기 바랍니다(이는 제137994호 상주문의 부속 문서임)
총리각국사무아문(總理各國事務衙門) 혁흔(奕訢)
청 광서 연간(1875-02-06~1909-01-21) 故機138765 문헌  
32 프랑스에서 올린 예물 목록을 그대로 옮겨 바치니 황제께서 열람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는 제137994호 상주문의 부속 문서임)
총리각국사무아문(總理各國事務衙門) 혁흔(奕訢) 등
청 광서 연간(1875-02-06~1909-01-21) 故機138766 문헌  
33 프랑스 측에서 올린 훈장과 국서 원문을 그대로 옮겨 바치니 열람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는 제137994호 상주문의 부속 문서임)
총리각국사무아문(總理各國事務衙門) 혁흔(奕訢) 등
청 광서 연간(1875-02-06~1909-01-21) 故機138767 문헌  
34 프랑스 사신의 황제 알현 및 훈장과 국서를 전하는 의례 절차안을 마련하여 올리니 열람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이는 제137994호 상주문의 부속 문서임)
총리각국사무아문(總理各國事務衙門) 혁흔(奕訢) 등
청 광서 연간(1875-02-06~1909-01-21) 故機138768 문헌  

귀한 선물이 내려오다

undefined

번호 작품명칭/작가 시절 소장품번호 형식 비고
35 흑 담비 모피로 만든 모자 등의 물품을 포상으로 하사해 주시고, 특별히 조칙을 내려 자제를 한 명 음서로 등용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를 청하는 상주문
복건(福建)·절강(浙江) 총독 양내(梁鼐)
청 강희 52년 윤 5월11일(1713-07-03) 故宮002961 문헌  
36 부싯돌 세트와 주머니 등 물품을 하사 받은 은혜에 감사를 드리며 아울러 황제께서 아버지와 형제까지 염려해 주신 데 대해 은혜와 영광을 깊이 느낍니다.
숙주(肅州) 총병관(總兵官) 노진성(路振聲)
청 강희 55년10월11일(1716-11-24) 故宮002913 문헌  
37 부싯돌 세트와 주머니 청(1644-1911) 故雜000553 문헌  
38 황제가 음식을 하사하신 은혜에 대해 감사를 드리는 상주문
직례총독(直隸總督)으로서 순무(巡撫) 사무를 겸임한 조홍섭(趙弘爕)
청 강희 56년10월24일(1717-11-26) 故宮000451 문헌  
39 황제의 친필 ‘복(福)’ 자와 말린 양고기 음식을 하사하신 것에 감사를 올리는 상주문
福建巡撫毛文銓
복건순무(福建巡撫) 박문전(毛文銓) 故宮021623 문헌  
40 황제의 접견과 음식 하사에 감사를 드리는 상주문
운남순무(雲南巡撫) 주강(朱綱)
청 옹정 5년10일24일(1727-12-06) 故宮017840 문헌  
41 황제께서 하사하신 소합보향(蘇合寶香) 한 상자와 기타 물품에 대해 삼가 감사를 드리는 상주문
보정부(保定府)에 주둔한 직례총독(直隸總督) 이위(李衛)
청 옹정 12년4월28일(1734-05-30) 故宮010955 문헌  
42 하미 멜론을 하사받은 은혜에 감사를 드리는 상주문
하남(河南)·하북(河北)의 총병관(總兵官) 기성빈(紀成斌)
청 옹정 3년9월26일(1725-10-31) 故宮011582 문헌  
43 황제께서 하사하신 코담배 병과 우유과자 등 물품에 대해 감사를 드리는 상주문
산동순무(山東巡撫) 황병(黃炳)
청 옹정 원년4월3일(1723-05-07) 故宮007783 문헌  
44 법랑 코담배 병 등 물품을 하사 받은 은혜에 감사를 드리는 상주문
광서제독(廣西提督) 겸 총병관 좌세영(左世永)
청 강희 57년6월13일(1718-07-10) 故宮002088 문헌  
45 구리 바탕에 채색 법랑으로 두 마리 나비를 그린 코담배 병 청 강희연간(1662-1722) 故琺000795 기물  
46 분채로 황제의 시와 화훼무늬를 장식한 코담배 병 청 건륭연간(1736-1795) 中瓷002381-002400 기물  
47 광서(廣西) 병사들에 대한 포상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보고드리는 상주문
광서제독(廣西提督) 총병관 장조오(張朝午)
청 강희 52년9월6일(1713-10-24) 故宮001848 문헌  
48 은으로 만든 작은 요강 청(1644-1911) 故雜008628 기물  
49 청 세종 옹정제의 행초체 칠언절구 청 옹정2년(1724) 贈書000372 서화  
50 황제의 친필 시가 적힌 부채 한 자루를 하사 받은 은혜에 감사를 드리는 상소문
복건순무(福建巡撫) 황국재(黃國材)
청 옹정 2년7월17일(1724-09-04) 故宮023449 문헌  
51 황제 폐하의 평안하심을 문안 드리는 상주문
광동(廣東)·광서(廣西) 총독이자 병부 우시랑(右侍郎) 겸 도찰원(都察院) 우부도어사(右副都御史)인 조홍찬(趙弘燦) 등
청 강희 54년6월22일(1715-07-22) 故宮001404 문헌  
52 어찬주역절중(御纂周易折中)
청 이광지(李光地) 등이 어명을 받아 편찬
청 강희 54년(1715) 무영전 간행본 故殿006517-006518 문헌  
53 『흠정시경전설휘찬(欽定詩經傳說彙纂)』을 하사 받은 은혜에 감사드리는 상주문
이부 우시랑(右侍郎)이자 하남 부총하(副總河)이며, 산동 황하 제방 공사를 겸임하여 관리하고 있는 혜증균(嵇曾筠)
청 옹정 5년9월9일(1727-10-23) 故宮017328 문헌  
54 흠정시경전설휘찬(欽定詩經傳說彙纂)
청대 왕홍서(王鴻緒)등이 어명을 받아 편찬
청 옹정 5년(1727) 무영전 간행본 故殿006551-06553 문헌  
55 무영전 수서처(修書處)에서 내려온 취진판(聚珍版) 서적을 정중히 간행하여 황제 폐하께 올려 열람을 청합니다.
(첨부: 하사받은 물품에 대한 은혜에 감사드리는 상주문)
절강순무(浙江巡撫) 왕단망(王亶望)
청 건륭 43년1월9일(1778-02-05) 故宮059664 含附件 문헌  
56 직재서록해제(直齋書錄解題)

송 진진손(陳振孫) 지음
청 건륭 38년(1773) 무영전 취진본(聚珍本) 故殿018786-018787 문헌  
57 송화석(松花石) 벼루 한 상자 등 황제 폐하께서 하사하신 물품에 깊이 감사의 뜻을 아룁니다.
광동총독(廣東總督)의 직무를 대리하는 광동 순무(廣東巡撫) 악미달(鄂彌達)
청 옹정 10년9월19일(1732-11-06) 故宮016316 문헌  
58 자주색 단석(端石)으로 만든 직사각형 벼루 청 옹정연간(1723-1735) 故文000205 기물  
59 주머니 청(1644-1911) 故雜007313 기물  
60 보길보(普吉保)가 장교와 병정을 지휘하여 도적의 자취를 수색하고 토벌하는 데 큰 공을 세워 칭찬할 만하다는 평가를 받아, 옥으로 된 활쏘기용 반지와 크고 작은 주머니를 하사 받은 데 대해 황제의 크신 은혜에 감사를 아뢰는 상주문
복강안(福康安), 해란찰(海蘭察), 악휘(鄂輝)
청 건륭 52년12월19일(1788-01-26) 故宮078763 문헌  
61 비취옥으로 된 활쏘기용 반지 청 건륭연간(1736-1795) 故玉008740 기물  
62 옥으로 된 활쏘기용 반지 청(1644-1911) 故玉004415 기물  
63 옥으로 된 활쏘기용 반지
여섯 명의 신선 그림이 새겨진 채색 옻칠 장식의 해당화 모양 상자
청(1644-1911) 故玉002639-002645、002648 기물  
64 백옥으로 만든 ‘희(喜)’ 자 활쏘기용 반지 등 물품을 하사해 주신 황제 폐하의 크신 은혜에 대해 감사를 드리는 상주문
성덕(成德), 혜령(惠齡) 문도(文圖), 부지나(富志那)
청 가경 원년 8월19일(1796-09-19) 故宮086774 문헌  
65 ‘희(喜)’ 자를 새긴 옥으로 만든 활쏘기용 반지 청(1644-1911) 故玉004379 기물  

상과 벌에 이치가 있다

undefined

번호 작품명칭/작가 시절 소장품번호 형식 비고
66 비밀 상주문
왕홍서(王鴻緒)
청 강희 44년에서 60년 사이(1705-1721) 故宮002511-002558、故宮002570-002573 문헌 重要古物
67 하사하신 부싯돌 세트, 차 꾸러미, 과자 등 물품에 대해 감사를 드리는 상주문
운남총독(雲南總督) 악이태(鄂爾泰)
청 옹정 5년 윤삼월 26일(1727-05-16) 故宮012412 문헌  
68 황제의 (직접 적은 지시나 회신인) 주비(硃批)가 있는 상주문을 공손히 돌려보냅니다
호북포정사(湖北布政使) 황곤(黃焜)
청 옹정 5년7월29일(1727-09-14) 故宮011293 문헌  
69 노비를 하사받은 은혜에 대해 감사를 드리는 상주문
안휘순무(安徽巡撫) 악락순(鄂樂舜)
청 건륭 20년10월18일(1755-11-21) 故宮036273 문헌  
70 죄인의 가족에게 내려주신 은혜에 감사드리며, 소란이나 도주 등의 일은 없었음을 보고하는 상주문
양광총독(兩廣總督) 양응거(楊應琚)
청 건륭 21년12월5일(1757-01-24) 故宮039201 문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