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작품 리스트
궁정 대악단
undefined
번호 | 출처 | 작품명칭 | 판본/시절 | 소장번호 | 등급 |
---|---|---|---|---|---|
1 | 주례 권6 (제6책) 춘관(春官) 종백(宗伯) 하 | 명 가정 연간에 서씨(徐氏)가 간행한 삼례(三禮)본 | 故善012702 | 고서 | |
2 | 생과(笙) 용(鏞)이 여러 차례 연주되는 그림, 소소(簫韶)의 악곡 연주를 마치는 그림 | 흠정서경도설(欽定書經圖說) 권5(제2책) | 청 광서31년(1905) 총리각국사무아문(總理各國事務衙門) 붉은색과 검은색으로 인쇄한 석인본 | 故殿013404 | 고서 |
3 | 흠정대청회전(欽定大清會典) 권58(제10책) | 청 건륭 29년 무영전(武英殿) 간행본 | 故殿035109 | 고서 | |
4 | 대청고종순황제실록 건륭7년 6월 상순 | 故官002467 103000958 | 문헌 | ||
5 | 악지악관(樂志樂官) | 청국사관본(清國史館本) | 故史002479 207000036 | 문헌 | |
6 | 어제운고당기(御製韻古堂記) | 국조궁사(國朝宮史) 권15(제13책) | 청 건륭 34년 내부(內府)에서 제작된 붉은 칸이 있는 필사본 | 故殿004449 | 고서 |
7 | 중화소악(中和韶樂) | 대청고종순황제실록(大清高宗純皇帝實錄) 건륭 26년 7월 하순 | 故官002894 103001385 | 문헌 | |
8 | 편종(조회용 악기) | 황조예기도식(皇朝禮器圖式) 권8(제8책) | 청 건륭 31년 무영전(武英殿) 간행본 | 故殿024315 | 고서 |
9 | 문묘악기도 | 중수대군각건축도설(重修臺郡各建築圖說) 33, 34 | 청 건륭연간 | 平圖021002-021003 | 문헌 |
10 | 희조아송(熙朝雅頌) 책(冊) (악기도 상) | 故書001058 | 기물 | ||
11 | 희조아송(熙朝雅頌) 책(冊) (악기도 하) | 故書001059 | 기물 | ||
12 | 편경 한 세트 10점(전시 1점) | 전국 | 購玉000014 | 기물 | |
13 | 제사 중화소악 악현 위치도 | 흠정대청회전도(欽定大清會典圖)』 권20 | 청 광서 25년 총리각국사무아문(總理各國事務衙門) 석인본 | 贈善037057 | 고서 |
14 | 악지(樂志) 권1(제1책) | 청대 내부(內府)에서 제작된 붉은 칸이 있는 필사본 | 故殿033431 | 고서 | |
15 | 화영(和瑛)의 주청, ‘태묘에 제사 지낼 때 사용하는 음악 제도에 대해 삼가 소견을 아뢰다’ (부록: 진(陳)의 『통전(通典)』에 실린 태묘 시향(時享) 때 영신(迎神)과 송신(送神)에 쓰이는 악장 목록) | 도광 1년6월16일 | 故宮106063 405000075 | 문헌 | |
16 | 채상가악(採桑歌樂)에 사용되는 악기 | 악지악기(樂志樂器) 4 | 청국사관본(清國史館本) | 故史002483 207000040 | 문헌 |
17 | 채상가악(採桑歌樂) | 국조궁사(國朝宮史) 권6(제4책) | 청 건륭 34년 내부(內府)에서 제작된 붉은 칸이 있는 필사본 | 故殿004440 | 고서 |
18 | 만수성절(萬壽聖節) 악장 | 악지(樂志) 권20(제20책) | 청대 내부(內府)에서 제작된 붉은 칸이 있는 필사본 | 故殿033450 | 고서 |
19 | 황태후 성수절(聖壽節) 악장 | 〈황제 탄신일 가무 곡목표 (만주어·한문 병기)〉 | 광서 | 故宮150711 408014406 | 문헌 |
20 | 예부의 주청,‘대혼례 의식을 공손히 준비하는 의례 절차 및 근거에 대해 군기처에 자문하다’ | 동치 11년9월24일 | 故機169300 169576 | 문헌 | |
21 | 건청궁(乾清宮) 천수연(千叟宴) | 『당토명승도회(唐土名勝圖繪)』 권1(제1책) | 일본 문화(文化)2년 오사카의 류쇼도(龍章堂)에서 간행된 붉은색과 검은색 병용 인쇄본 | 贈善006660 | 고서 |
22 | 건청궁(乾清宮) 천수연(千叟宴) | 대청고종순황제실록(大清高宗純皇帝實錄) 건륭 50년 정월 상순 | 故官003449 103001940 | 문헌 | |
23 | 재원 등 5인의 주청, ‘담박경성전(澹泊敬誠殿)에서의 의례 거행 및 음악 설치, 시반(侍班)·감례(監禮) 인원의 배치도를 그려 진상함’ | 함풍 10년11월27일 | 故宮132429 406013555 | 문헌 | |
24 | 자광각(紫光閣) 개선 연회 장병도 | 평정금천도(平定金川圖) | 平圖021207 | 고서 | |
25 | 금천(金川) 평정 악장 만주어·한문 대조 악보 경륭무악책엽(慶隆舞樂冊頁)(8) 책엽 | 청대 | 故書000272 | 서화 |
노래하고 춤추다
undefined
번호 | 출처 | 작품명칭 | 판본/시절 | 소장번호 | 등급 |
---|---|---|---|---|---|
26 | 연주자 예복, 무용수 예복 | 흠정대청회전도(欽定大清會典圖) 권47(제16책) | 청 가경 18년 무영전(武英殿) 간행본 | 故殿012970 | 고서 |
27 | 일무도 | 중수대군각건축도설(重修臺郡各建築圖說) 35, 36 | 청 건륭연간 | 平圖021004-021005 | 고서 |
28 | 문묘(文廟) 무용 악보 | 악지악무(樂志樂舞) 13 | 청국사관본(清國史館本) | 故史002425 207000082 | 문헌 |
29 | 영상(永瑺), 덕보(德保), 동고(董誥)의 주청, ‘신축한 열하(熱河) 문묘에 파견된 악관(樂官), 악생(樂生), 무생(舞生) 등의 인원 명단과 인원 수에 대해 상세히 아뢰다’ | 건륭 | 故機023156 22982 | 문헌 | |
30 | 경륭무악(慶隆舞樂)에 사용된 비파 | 황조예기도식(皇朝禮器圖式) 권9(제8책) | 청 건륭 연간에 필사된 문연각(文淵閣) 『사고전서(四庫全書)』 판본 [국보] | 故庫014161 | 고서 |
31 | 황제의 삼대 명절 연회에서의 경륭무악(慶隆舞樂) | 악지악전(樂志樂典) 9 | 청국사관본(清國史館本) | 故史002514 207000071 | 문헌 |
32 | ‘희기무(喜起舞) 및 경륭무(慶隆舞) 의례 담당 인원 목록’ | 청 광서 | 故機145091 144302 | 문헌 | |
33 | 양열무(揚烈舞) | 흠정대청회전도(欽定大清會典圖) 권56 | 청 광서 25년 총리각국사무아문(總理各國事務衙門) 석인본 | 贈善037067 | 고서 |
변방의 음악이 모이다
undefined
번호 | 출처 | 작품명칭 | 판본/시절 | 소장번호 | 등급 |
---|---|---|---|---|---|
34 | 연회용 악기 | 악지악기(樂志樂器) 5 | 청국사관본(清國史館本) | 故史002484 207000041 | 문헌 |
35 | 준갈이부악(準噶爾部樂) | 흠정황여서역도지(欽定皇輿西域圖志) 권40(제45책) 준갈이부악(準噶爾部樂), 회부악(回部樂), 회부(回部) 악공 | 청 건륭 27년 내부(內府)에서 제작된 붉은 칸이 있는 필사본 | 故殿014142 | 고서 |
36 | 매년 섣달 그믐날에 대비하여 준비해야 할 각종 음악과 무용 목록의 결정을 청함 (부록 1건 포함) | 함풍 | 故宮135826 406016871 | 문헌 | |
37 | 목마가(牧馬歌) | 가취악장(笳吹樂章) 만주・몽골・한문 통합 악보 가취악장(1) 책(冊) | 청대 | 故書000275 | 서화 |
38 | 단포라(丹布拉, 곽이가부악(廓爾喀部樂)) 악기 | 악지악기(樂志樂器) 6 곽이가부악 단포라 | 청국사관본(清國史館本) | 故史002485 207000042 | 문헌 |
39 | 십방(什榜, 변방 연회의 네 가지 행사의 하나) | 흠정황여서역도지(欽定皇輿西域圖志) 권3(제4책) | 청 건륭 27년 내부(內府)에서 제작된 붉은 칸이 있는 필사본 | 故殿014101 | 고서 |
40 | 화불사(火不思, 악기명) | 흠정대청회전도(欽定大清會典圖) 권36(제11책) | 청 가경 18년 무영전(武英殿) 간행본 | 故殿012965 | 고서 |
현을 넘어 울려 퍼지는 여운
undefined
번호 | 출처 | 작품명칭 | 판본/시절 | 소장번호 | 등급 |
---|---|---|---|---|---|
41 | 상·중·하로 나눈 음악 등급은 총 일곱 등급으로 구성 | 어제율려정의(御製律呂正義) 속편 | 청 강희 연간(1661–1722) 내부(內府) 구리 활자본 | 故殿010856 | 고서 |
42 | 어제율려정의후편(御製律呂正義後編) 권35에서 52 | 청 건륭연간 무영전(武英殿)에서 간행된 붉은색과 검은색 병용 인쇄본 | 故殿010871-010877 | 고서 | |
43 | 도요장(桃夭章) 악보 | 흠정시경악보전서(欽定詩經樂譜全書) 권1(제1책) | 청 건륭 53년 무영전(武英殿)에서 간행된 붉은색과 검은색 병용 인쇄본 | 故殿021052 | 고서 |
44 | 악휘(鄂輝)의 주청, 『흠정악률정속(欽定樂律正俗)』 1책과 『흠정시경악보전서(欽定詩經樂譜全)』 1부를 하사 받은 데 대한 감사 아룀 | 건륭 54년06월08일 | 故宮083478 403057540 | 문헌 | |
45 | 청 건륭 분채 채색의 사녀(仕女)가 음악을 연주하는 등롱(燈籠) 모양 병 | 청대 | 故瓷007371 | 기물 | |
46 | 청 건륭 분채 채색의 사녀(仕女)가 음악을 연주하는 등롱(燈籠) 모양 병 | 청대 | 故瓷007372 | 기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