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구로 이동
:::

청나라 궁정의 화려하고 아름다운 격사와 자수

궁정에서 제작된 격사 자수는 가는 실로 정교하게 짜였으며 색채가 화려하고, 일부 세부에는 채색이 더해지기도 하였습니다. 주제도 다양하여 역사 이야기, 불교와 도교 관련 도상, 그리고 〈경직도〉 도식에서 파생된 직물이 특징적입니다. 청대 궁정의 격사 자수 제작은 대부분 강남 지역의 ‘소주직조(蘇州織造)’에 하달되었습니다. 궁중과 지방 간의 빈번한 교류 속에서 궁정에서도 18세기에 유행한 소주 판화풍을 모방한 격사 작품을 소장하기도 하였습니다.
본 웹사이트에서 사용하는 키보드 사진첩 기능 설명보기:
  • 위로: 사진메뉴 보기
  • 아래로: 사진메뉴 숨김
  • 왼쪽으로: 윗 사진
  • 오른쪽으로: 다음 사진
  • ESC:사진첩 나가기
  • 청 격사로 짠 농촌의 경사로운 날 그림 족자

    故絲000038

    청대에는 강희 황제를 시작으로 〈경직도(耕織圖)〉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초병정(焦秉貞, 1689–1726년 활동), 냉매(冷枚, 약 1670–1742), 진매(陳枚, 약 1694–1745) 등은 모두 〈경직도〉 화첩을 제작하였으며, 〈농사도〉와 〈직조도〉 각 23폭씩 총 46폭의 그림을 그려 농부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농가 여인이 누에를 길러 천을 짜기까지의 여러 과정을 묘사하였습니다. 청대 궁정에서는 〈경직도〉를 주제로 한 다양한 예술품이 제작되었으며, 이 격사 자수 작품도 그중 하나입니다.
    도안의 오른쪽 아래에는 마을 사람이 절구질하는 장면이 보이며, 이는 〈농사도〉 제18폭 ‘방아찧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방아’는 곡물을 찧는 도구로 정미 작업에 사용됩니다. 그 옆에는 농가 식구들이 숯불을 쬐며 몸을 녹이고, 노인이 아이의 손을 잡고 있는 풍경이 함께 어우러져 농촌의 정취를 더하고 있습니다.

TOP